본문 바로가기
국제개발협력

새로운 길을 위한 준비

by 모닝쁘미 2024. 11. 13.

ICT를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 한국의 노력은 1996년부터 시작되었다. 학교 교육에 컴퓨터를 도입하는 배경은 자라나는 세대를 위한 준비가 1순위 목표이다. 더불어 한국과 같은 교육열이 높은 국가의 경우 학교 교육에서 컴퓨터교육을 시작하면 각 가정에서도 컴퓨터에 사용에 대한 관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산업체에 컴퓨터 생산과 소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준다.

 

당시 김대중 정부가 잡은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이라는 방향 설정은 정책을 실현시키는 환경 측면에서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지리적, 인구·통계적 요인이 성공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 그 예로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장애인, 고령자, 주부 등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ICT 기술 교육은 정보화 수요를 자극하여 초고속망의 빠른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 이와 함께 한국의 ICT 성공 요인으로 교육의 중요성을 꼽고 있다.

 

자주 거론되지만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가 전통적으로 교육에 높은 존경과 가치를 부여하고 부모들의 자녀 교육열이 높다는 사실이 중요하단 대목이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정보화의 융합은 한국인의 '새로움'에 대한 높은 호기심과 새로운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용적 태도로 이어졌다. 비교적 작은 국토 면적에 비해 많은 인구와 아파트 중심의 고밀도 주거 패턴 등 광대역 초고속망의 구축을 쉽게 했다. 이는 곧 인프라 구축비용을 줄일 수 있었고 비용대비 효율적 구축을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이용자의 높은 서비스 접근성을 가능하게 하여 광대역의 빠른 확산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꼽힌다(참고).

[한국의 ICT 기술에 대한 국제 지표 평가; 놀랍다!]

 

이미 1994년에 초고속망 시범 서비스 과제를 할 정도로 그때는 새로운 도전의 시기였다. 그리고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ICT 국제개발협력에 있어서도 새로운 계기가 열렸다.

 

2005년 어느 날, 연구기관의 K박사가 전화를 했다. 흥미 있는 과제가 있으니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해 달라는 내용이었다. 그가 잘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었으므로 그리하라고 했다. 며칠 후 다른 대학에서 또 연락이 왔다. 동일한 과제를 준비하고 있는데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해 달라는 것이었다. 짧은 시간이지만 많은 생각이 지나갔다. 확률적으로 볼 때 이 대학의 연구팀이 그 과제를 수행하게 될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어찌할 것인가? 단칼에 No를 못하는 나의 약함을 보면서, 다른 분을 소개해 주었다.

 

결과는?

예상했던 대로였다.

K박사를 위로하고 난 며칠 후에 그 과제를 수행하기로 결정된 대학의 연구팀이 나를 여전히 공동연구원으로 하겠다고 연락을 했다. 내가 반드시 들어가서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에피소드를 겪으며 2005년에 내 손에 ‘Knowledge Package’라는 두 장의 CD가 들어왔다. Knowledge Package1996년부터 한국에서 이루어진 학교교육에서의 ICT 활용에 관한 정책적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이다. ‘교육정보화라는 이름으로 이루어진 1996년 이후 학교교육에 컴퓨터를 도입한 이 사업의 전 과정을 8개의 영역으로 요약해서 쉽게 그 내용을 파악하게 했다. 한국의 IT에 대한 투자와 정책의 집중화는 이미 세계적으로 명성이 나기 시작하는 시점이었다. 때문에 정리된 정책 내용의 사례는 다른 나라에 관련 사업을 소개하기에 안성맞춤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을 참고하기 원하는 국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새로운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하나의 툴로서 작용하기 시작했다.

[Knowledge Package CD]

 

그러나 당시에는 개인적으로 이것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에 대한 생각을 하지도 못했고 단순히 과제 한 개만 수행한 것으로 여겼다.

 

참고: Lee, C. (2021). National Informatization Policy in Korea: A Historical Refl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Journal of Policy Studies, 36(1), 2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