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닝3 e-러닝 국제 컨설팅 – 세계로의 항해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이르기까지 발전함에 있어서 각 부분마다 나름의 역사와 스토리가 있다. 이러닝 분야로 대표되는 학교 교육에 컴퓨터를 활용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전국 단위로 실행한 것도 마찬가지다. 이런 규모의 급속한 정책 집행은 다른 나라들은 여간해서 도전하기 어렵다. 모든 학교에 컴퓨터실을 만들고 인터넷을 연결시키는 것은 국가적인 투자와 교사들의 순응 및 국민들의 암묵적인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언젠가 방콕의 UNESCO 사무소에 회의차 들렀을 때, 아침 식사 자리에서 Ms. Molly가 물었다. 한국에서 R 러닝이라고 하던데 그게 무엇이죠? 잠깐 생각했다. U러닝 말이 나올 때 쯤 이었으니, 어떤 교육공학 하는 사람이 로봇활용 교육을 말했음직했다. 그만큼 한국은 다양한 시도가 허용.. 2024. 11. 14. 팔렘방, 호텔에서 개최한 AIV 이 사업을 10년간 운영해 온 것을 감사하여 인도네시아 측에서 2010년 AIV는 워크숍 장소를 학교가 아닌 호텔에서 열도록 정하였다. 10년이라니 순식간에 멀리 온 느낌이다. 국제 사업의 효과는 적어도 3년 이상의 장기간 지속할 때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일회성이나 단발 프로젝트에 반응을 보이는 나라는 흔치 않다. 국제개발협력 사업에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최소한의 기간은 사업의 유형과 목표, 지역의 특성에 따라 크게 다르다. 일반적으로 단기 사업은 1~3년의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긴급구호나 의료지원 또는 단기 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중기 사업은 3~5년 정도의 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현지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고, 기초적인 사회 기반을 구축하는 데 적합하다 이 정도 기간이면 효과가 점차적으로 나타나.. 2024. 11. 8. EBS 이러닝 수능방송 – 이러닝 세계화를 향하여 여러 형태의 ICT 활용 국제교육사업의 성공적인 결과는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국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협력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가져왔다. 이러한 국제교육 사업은 절차상 APEC의 교육장관회의등과 같은 각국 협의체에서 동의를 얻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외교적 형식에 교육적 내용을 담아야 하는 절차적 과정이 필수적이다. 그 가운데 ICT 모델 스쿨 네트워크 구축 아이디어가 나왔다. ‘APEC 역내 우수한 초중등 학교들의 ICT 교육 상황을 파악하여 미래교육에서 ICT의 활용 방향 모색하자. 국내 ICT 활용 우수학교들이 체계적인 국제교류협력 활동을 전개함으로서 국내 학교의 국제화 마인드 확산과 경험을 축적하도록 유도하자. 그리고 IT 강국으로서의 기술, 인력 및 노하우를 APEC 국가들을 대상으로 보급하여.. 2024. 10. 30. 이전 1 다음